[치료소감] 학교를 가지 않고 모든 것에 무기력해진 학생
페이지 정보

본문
[소감문]
“치료 받기 전 의욕도 없었고 과거의 나를 미워하고 한심하게 생각했습니다.
학교를 자꾸 가지 않게 되는 이유도 몰랐습니다.
치료를 받은 후 저의 지금 상태가 그냥 나온 것이 아니라
과거의 저와 연관이 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과거의 저를 사랑하지 못하니 현재의 저 역시 그러지 못했고
거기서 파생되어 지금의 저가 있게 된 상황까지 온 것 같습니다.
치료를 받으며 이런 문제를 파악했고 마음을 다시 잡게 된 것 같습니다.
앞으로 저의 솔직한 감정에 귀 기울이며 떳떳하게 살게 될 것 같습니다.“
[치료소감] 학교를 가지 않고 모든 것에 무기력한 우울증 학생
■ 자기 자신을 못마땅해 하고 한심하게 여기는 쓰라린 부정적 자기평가에 사로잡힌 대학생.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학과 수업을 따라가는 것도 힘들었고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도 잘 되지 못했다.
사람들과 편하게 지내기가 힘들었고 신경이 많이 쓰이고
자신을 안좋게 보지 않을까 걱정이 돼 사람들을 피하게 되었다.
학교 가는 것이 의미가 없게 느껴지고
시험을 치고 졸업을 하고 취직을 해야 하는데 모두 잘해낼 수 있을까
걱정만 많았고 자신이 없었다.
미래에 계획이나 꿈을 가지기 어려웠고 앞날이 부정적으로 그려졌다.
의욕이 없었고 무기력했다.
집에서도, 가족과 있을 때도, 학교에 갈 때도, 혼자 있을 때도 그랬다.
점점 학교를 가지 않게 되었다.
그럴수록 주위에선 다 큰 녀석이 왜 그러냐고 비난의 눈초리를 받아야 했고,
자기 스스로도 한심하고 아무것도 못할 못난 녀석이라고 매섭게 비난하였다.
나 자신이 왜 이렇게 할 수 있는게 아무것도 없게 되었는지,
남들 다하는 것도 못하고 사회의 낙오자 같이 되었는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부모님과 함께 해오름을 찾아왔고 한약치료와 심리치료를 시작하였다.
■ 학교를 가지 않고 공부도 하기 싫고 사람도 싫은 학교부적응
지금의 상태가 어디서부터 기인되고 있는지 차츰 알아갈 수 있게 되었다.
지나가서 이제는 끝나버린 일이라고만 생각했던 과거의 감정과 내적 경험들이
자기도 모르게 보이지 않는 내면에 남아서 움직이고 있는 역동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미워하고 있던 마음이 깊숙이 박혀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비난하고 평가하고 깎아 내리면서 자아를 약하게 만들고 있었다는 것을 결국 깨닫게 되었다.
그런 자기 자신에 대한 미움은 스스로가 하지 않으려 해도 자기 마음대로 잘되지 않는 것이라
생각대로 되지 않고 도전할수록 거대한 벽처럼 어렵게 느껴지기 쉽다.
그래서 해오름에서는 보다 마음 깊은 곳에 있는 본연의 자기 자신을 만날 수 있게 하고
자기 자신과 대면하고 진실을 알아가면서
실존적으로 무엇이 부족했고 필요한 것이었는지 스스로 깨닫고 알아가는 경험들을 하고자한다.
진정으로 자신이 원하는 목소리가 무엇인지 알아듣고 다시금 자기 자신과의 관계를 새롭게 바꾸어갈 수 있게 되어갔다.
자신을 이해하고 포용하면서 비난과 미움이 아닌 애정과 존중의 마음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비로소 마음을 다시 잡고 희망과 의욕을 가질 수 있었고 학교와 일상생활로 복귀 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는 이제와는 달리 스스로와의 오해와 갈등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것이 아닌
자신을 알아주고 소통하여 떳떳하게 살 수 있을 것 같다며 밝은 미래를 그릴 수 있었다.
“치료 받기 전 의욕도 없었고 과거의 나를 미워하고 한심하게 생각했습니다.
학교를 자꾸 가지 않게 되는 이유도 몰랐습니다.
치료를 받은 후 저의 지금 상태가 그냥 나온 것이 아니라
과거의 저와 연관이 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과거의 저를 사랑하지 못하니 현재의 저 역시 그러지 못했고
거기서 파생되어 지금의 저가 있게 된 상황까지 온 것 같습니다.
치료를 받으며 이런 문제를 파악했고 마음을 다시 잡게 된 것 같습니다.
앞으로 저의 솔직한 감정에 귀 기울이며 떳떳하게 살게 될 것 같습니다.“
[치료소감] 학교를 가지 않고 모든 것에 무기력한 우울증 학생
■ 자기 자신을 못마땅해 하고 한심하게 여기는 쓰라린 부정적 자기평가에 사로잡힌 대학생.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학과 수업을 따라가는 것도 힘들었고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도 잘 되지 못했다.
사람들과 편하게 지내기가 힘들었고 신경이 많이 쓰이고
자신을 안좋게 보지 않을까 걱정이 돼 사람들을 피하게 되었다.
학교 가는 것이 의미가 없게 느껴지고
시험을 치고 졸업을 하고 취직을 해야 하는데 모두 잘해낼 수 있을까
걱정만 많았고 자신이 없었다.
미래에 계획이나 꿈을 가지기 어려웠고 앞날이 부정적으로 그려졌다.
의욕이 없었고 무기력했다.
집에서도, 가족과 있을 때도, 학교에 갈 때도, 혼자 있을 때도 그랬다.
점점 학교를 가지 않게 되었다.
그럴수록 주위에선 다 큰 녀석이 왜 그러냐고 비난의 눈초리를 받아야 했고,
자기 스스로도 한심하고 아무것도 못할 못난 녀석이라고 매섭게 비난하였다.
나 자신이 왜 이렇게 할 수 있는게 아무것도 없게 되었는지,
남들 다하는 것도 못하고 사회의 낙오자 같이 되었는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부모님과 함께 해오름을 찾아왔고 한약치료와 심리치료를 시작하였다.
■ 학교를 가지 않고 공부도 하기 싫고 사람도 싫은 학교부적응
지금의 상태가 어디서부터 기인되고 있는지 차츰 알아갈 수 있게 되었다.
지나가서 이제는 끝나버린 일이라고만 생각했던 과거의 감정과 내적 경험들이
자기도 모르게 보이지 않는 내면에 남아서 움직이고 있는 역동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미워하고 있던 마음이 깊숙이 박혀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비난하고 평가하고 깎아 내리면서 자아를 약하게 만들고 있었다는 것을 결국 깨닫게 되었다.
그런 자기 자신에 대한 미움은 스스로가 하지 않으려 해도 자기 마음대로 잘되지 않는 것이라
생각대로 되지 않고 도전할수록 거대한 벽처럼 어렵게 느껴지기 쉽다.
그래서 해오름에서는 보다 마음 깊은 곳에 있는 본연의 자기 자신을 만날 수 있게 하고
자기 자신과 대면하고 진실을 알아가면서
실존적으로 무엇이 부족했고 필요한 것이었는지 스스로 깨닫고 알아가는 경험들을 하고자한다.
진정으로 자신이 원하는 목소리가 무엇인지 알아듣고 다시금 자기 자신과의 관계를 새롭게 바꾸어갈 수 있게 되어갔다.
자신을 이해하고 포용하면서 비난과 미움이 아닌 애정과 존중의 마음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비로소 마음을 다시 잡고 희망과 의욕을 가질 수 있었고 학교와 일상생활로 복귀 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는 이제와는 달리 스스로와의 오해와 갈등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것이 아닌
자신을 알아주고 소통하여 떳떳하게 살 수 있을 것 같다며 밝은 미래를 그릴 수 있었다.
- 이전글[치료소감] 사람 앞에서 긴장과 떨림이 많은 청년의 마음치료 24.12.18
- 다음글[치료소감] 50대 여성의 갱년기 우울증의 마음치료 24.12.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